전기차 배터리는 성능, 수명, 안전성, 충전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.
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배터리부터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는 배터리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리튬이온 배터리 (Lithium-ion Battery, Li-ion)
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기차 배터리
✅ 특징
-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길다.
- 충·방전 효율이 높고, 메모리 효과가 적다.
- 발열과 화재 위험이 있지만, 최신 기술로 안전성이 개선됨.
- 대부분의 전기차 브랜드(테슬라, 현대, 기아 등)에서 사용.
✅ 주요 종류
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재 조성에 따라 나뉩니다.
🔹 NCM (니켈-코발트-망간) 배터리
- 니켈(Ni), 코발트(Co), 망간(Mn) 조합.
- 높은 에너지 밀도로 장거리 주행에 적합.
- 테슬라, 현대차, 폭스바겐 등에서 주로 사용.
🔹 NCA (니켈-코발트-알루미늄) 배터리
- 니켈(Ni), 코발트(Co), 알루미늄(Al) 조합.
- NCM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, 열 관리가 필요함.
- 주로 테슬라에서 사용.
🔹 LFP (리튬인산철) 배터리
- 리튬(Li), 철(Fe), 인산(PO4) 조합.
- 안전성이 높고 수명이 길지만, 에너지 밀도는 낮음.
- 테슬라, BYD 등의 전기차에 적용됨.
2. 리튬폴리머 배터리 (Lithium Polymer, Li-Po)
소형 전기차, 드론, 스마트폰 등에 사용
✅ 특징
- 무게가 가볍고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 가능.
- 내부에 액체가 아닌 젤 형태 전해질을 사용해 폭발 위험이 낮음.
-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전기차보다는 모바일 기기에 주로 사용됨.
3. 전고체 배터리 (Solid-state Battery, SSB)
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
-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 형태로 사용.
- 화재 위험이 적고, 충전 속도가 빠르며 수명이 김.
- 에너지 밀도가 높아 한 번 충전으로 더 멀리 주행 가능.
- 현재 연구·개발 중이며, 2027년 이후 본격적인 상용화 예상 (도요타, 폭스바겐, 삼성SDI 등 개발 중)
4. 나트륨이온 배터리 (Sodium-ion Battery, Na-ion)
리튬 대체 기술로 주목받는 배터리
✅ 특징
- 리튬보다 저렴한 나트륨(Na)을 사용해 원자재 비용 절감.
-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, 추운 날씨에서도 성능이 안정적.
- 현재 CATL(중국)이 개발 중이며, 보급형 전기차 및 ESS(에너지 저장 시스템)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음.
5. 연료전지 (Fuel Cell, 수소전기차용 배터리)
배터리가 아닌 수소를 연료로 사용
✅ 특징
-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는 대신,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.
- 충전 시간이 짧고, 주행거리가 길지만, 수소 충전소 인프라 부족이 단점.
- 현대 넥쏘(NEXO), 도요타 미라이(Mirai) 등에 적용됨.
6. 전기차 배터리 비교
배터리 유형 | 장점 | 단점 | 적용 사례 |
---|---|---|---|
NCM | 높은 에너지 밀도, 장거리 주행 가능 | 원자재 비용이 비쌈 | 테슬라, 현대, 기아 |
NCA | 에너지 밀도 최상급 | 안전성 낮음, 열 관리 필요 | 테슬라 |
LFP | 저렴하고 안전, 수명 김 | 에너지 밀도가 낮음 | 테슬라, BYD |
전고체 | 차세대 배터리, 안전성 높음, 충전 속도 빠름 | 상용화 전, 가격이 높음 | 도요타, 폭스바겐(개발 중) |
나트륨이온 | 저렴하고 자원 확보 쉬움 | 에너지 밀도 낮음 | CATL(개발 중) |
수소연료전지 | 충전 시간 짧음, 긴 주행거리 | 충전소 부족, 인프라 문제 | 현대 넥쏘, 도요타 미라이 |
'갈색행운이의 일상 > 잡동사니 놀이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MD 라이젠 9950X3D & 9900X3D 성능 스펙 비교 (110) | 2025.02.08 |
---|---|
큐비트란? Qubit 양자 컴퓨터의 핵심 개념 (64) | 2025.02.06 |
감기와 독감의 차이? 증상 구분 및 예방법 (63) | 2025.02.05 |
갤럭시 S25 AI 기능 총정리 (106) | 2025.02.04 |
2025년 2월 축제 총정리 (33) | 2025.0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