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갈색행운이의 일상/일상의 지식 상자

분홍빛 진달래처럼 포근한 봄이 오고 있어요 – 진달래 개화 정보

진달래란? – 봄이 왔어요!

진달래(Rhododendron mucronulatum)는 봄이 시작됐다는 걸 알려주는 꽃이에요. 

산이나 들에 핑크빛으로 활짝 피어나면, 아~ 이제 봄이구나 하고 느껴지죠. 


특히 잎보다 꽃이 먼저 피는 진달래는 앙상한 가지 위에 예쁜 분홍꽃을 피워서 멀리서도 눈에 확 들어와요. 
색깔도 연한 분홍부터 자줏빛까지 다양해서 봄 풍경을 더 화사하게 만들어줘요.

 

진달래는 언제 어디서 피나요?

진달래는 보통 3월 말에서 4월 중순 사이에 피어요. 지역마다 조금씩 다르긴 하지만, 

대략 이런 시기를 참고하시면 좋아요

 

- 서울 & 경기: 4월 초 ~ 중순
- 부산, 제주 등 남쪽 지역: 3월 중순 ~ 말
- 강원도 고지대: 4월 중순 ~ 말

 

주로 산 능선이나 야산, 산기슭 같은 데서 자생하고, 산이 높을수록 좀 더 늦게 핀답니다.

 

 

진달래 vs 철쭉, 뭐가 다를까요?

헷갈리기 쉬운 두 봄꽃! 진달래랑 철쭉은 비슷하게 생겼지만 차이점이 있어요

 

구분 진달래 철쭉
개화 시기 3~4월 4~5월
꽃 색깔 연분홍, 자주 진분홍, 흰색
꽃잎 독성 없음 (먹을 수 있어요!) 있음 (먹으면 안 돼요!)
특징 잎보다 꽃이 먼저 핌 꽃이랑 잎이 같이 나와요

 

진달래는 식용이 가능해서 봄철엔 화전으로 즐기기도 해요. 
달콤한 찹쌀 반죽 위에 진달래꽃 얹어서 지지면, 봄 내음 가득한 전통 간식 완성!

 

 

진달래꽃이 주는 감성

진달래는 사랑, 이별, 그리고 그리움을 상징해요. 
김소월 시인의 시 「진달래꽃」 아시죠? “당신이 가시는 길에 뿌리오리다”라는 구절로 유명한데, 
이 시 덕분에 진달래는 이별의 꽃, 헌신의 꽃으로 많이 기억돼요.

또 옛날엔 화전놀이라고 해서 봄날에 진달래꽃 따서 화전 부치며 놀았어요. 
특히 삼짇날(음력 3월 3일)엔 진달래 화전 먹는 풍습도 있었답니다.
그러고 보니 삼짇날은 이 글을 쓰기 며칠 전이었네요.

 

 

진달래 명소 – 봄소풍 어디 갈까?

진달래 보러 나들이 가기 딱 좋은 곳들 소개할게요

 

황매산(경남 합천)
  - 전국 최대 진달래 군락지
  - 4월 중순쯤 절정이에요
  - '황매산 철쭉제'도 같이 열려요

불암산(서울 노원)
  - 서울 도심에서 즐기는 봄꽃 트레킹!
  - 가족끼리 가볍게 다녀오기 좋아요

비슬산(대구)
  - 산 정상 부근이 온통 진달래밭!
  - '비슬산 참꽃문화제'도 놓치지 마세요

아차산(서울 광진)
  - 초보자도 오르기 쉬운 산이에요
  - 4월 초면 진달래 만개!

 


 

진달래는 그냥 봄꽃이 아니라, 봄이 왔다는 신호이자 계절의 시작을 알리는 반가운 친구예요. 

산책하다가, 등산 가다가, 동네 공원에서라도 진달래랑 마주친다면 그 따뜻한 봄기운을 온몸으로 느껴보세요. 

올해는 진달래 가득한 군락지로 봄소풍 한 번 떠나보는 건 어떨까요?